전체 글
-
[Cloud] 클라우드 모델 이해Infra/Azure 2022. 5. 15. 17:29
클라우드 모델 공용 클라우드 (Public Cloud) 가장 많이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또는 호스팅 제공 업체가 소유 특정되지 않은 사용자에게 리소스와 서비스를 제공 보안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액세스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사용) 사설 클라우드 (Private Cloud) 클라우드 리소스를 조직에서 소유하고 관리/운영 담당 조직은 데이터센터에 클라우드 환경을 만듬 특정 사용자에게만 리소스와 서비스를 제공 제공되는 서비스의 운영을 책임지는 조직이 있음 보안된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일반적으로 사내망 사용)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Hybrid Cloud) 공용 클라우드와 사설 클라우드를 결합 사내 데이터센터를 공용 클라우드로 확장하는 개념 사설 클라우드의 단점을 공용 클라우드로 보..
-
[Cloud] IaaS, PaaS, SaaS 이해하기Infra/Azure 2022. 3. 12. 15:44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 IaaS, PaaS, SaaS 비교 Infrastructure-as-a-Service (IaaS) 가장 기본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네트워크, 저장소, 서버를 클라우드 제공자가 관리 물리보안에 대한 모든 책임은 클라우드 제공자에게 있음 셀프 서비스 포털을 통해 프로비저닝과 관리할 수 있는 컴퓨터 인프라 제공 운영체제(OS)부터 사용자가 관리 Platform-as-a-Service (PaaS) 클라우드 제공자가 플랫폼을 제공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을 구축, 테스트, 배포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 사용자는 운영 체제, 플랫폼 관리 및 업데이트를 신경 쓰지 않고 제품에 좀 더 집중할 수 있음 운영 체제에 접근할 수 없고 클라우드 제공자가 제공한 플랫폼에서만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제약..
-
[Cloud] 클라우드 이점 및 고려사항Infra/Azure 2022. 3. 11. 07:19
왜 클라우드 서비스인가? 클라우드 벤더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Platform (GCP) Cloud Computing 가상화 시장이 발전하면서 서버를 생성/삭제하는 것이 빨라짐 서버 구매 대비 시간과 비용이 절약 사용자가 요청하면 응답 컴퓨팅, 네트워크, 저장소 서비스 등 사용량 측정 가능 이점 고 가용성 재해 복구 확장성 유연한 예산 운용 민첩성 탄력성 글로벌 분산 보안성 대량의 가용성 결함에 따른 복구성 규모의 경제 IT 인프라 운영 시 작은 규모로 운영하는 것보다 더 큰 규모로 운영할 때 더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운영 가능 (ex. 서버 소량 vs 대량 구매) Microsoft, Amazon, Google 과 같은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매우 큰 기업이므로 규모의 경제..
-
[Docker] docker 사용법 (EC2 ubuntu)Infra/Docker 2022. 3. 5. 00:40
ec2 설정 방법 (ubuntu 기준) 환경: EC2 Ubuntu ec2는 VM 종류 중 하나이며, VM에서도 도커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 도커를 VM 위에서 돌리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인스턴스를 처음 생성하여 접속하면 텅 빈 공간이 생긴다. 이곳에 하나하나씩 설치해야 한다. # 깃 설치 $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git $ git --version # jdk 11 설치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openjdk-11-jdk $ javac -version javac 11.0.11 $ java -version openjdk version "11.0.11" 2021-04-20 $ docker version $ su..
-
[Cloud] Azure Compute 서비스Infra/Azure 2022. 2. 12. 23:49
Azure Compute Azure에서 Compute 작업을 하는 서비스 Web Server를 운영하거나 Application Server를 운영 시 사용 기본적으로 Virtual Machine이 있음 사용자가 직접 프로세스에 관여 Azure Virtual Machine: IaaS의 대표적인 서비스로 워크로드를 수행하기에 가장 유연한 서비스이다. 운영체제를 관리해야 하며 사용자가 직접 운영한다. VM Scale Sets: Azure VM Image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다. App SErvices: 사용자는 소스 파일만 업로드하면 알아서 동작하는 PaaS이다. Web App, API App, Mobile App, Logic App, Functions와 같은 서비스들이 있다. Func..
-
[Cloud] Azure 아키텍처 구성 요소Infra/Azure 2022. 1. 29. 09:22
지역 (Region) 지역(Region)은 데이터센터 모음을 나타냄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지역에 리소스를 배포 가능 전세계 55개 지역 140개국 리소스 배치 시 지역 가용성에 유의 지역 독립적인 글로벌 서비스 존재 BCDR (Business continuity and disaster recovery) Azure 지역은 항상 쌍을 이루는 다른 지역이 있음 데이터센터 간 300마일 이상의 분리를 선호 일부 서비스의 경우 지역 쌍에 자동 복제를 제공 (Storage Account 등) Geography 데이터 상주 및 규정 준수 경계를 유지하는 개별 시장 일반적으로 둘 이상의 영역이 포함됨 특정 지역 및 규정 준수 요구 사항이 있는 고객은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을 가까이에 두어야 함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
[OS] vi 단축키 정리Computer Science/OS (운영체제) 2021. 12. 10. 18:51
삽입 키 기능 i 커서 위치에 insert I 줄 맨 앞에서 insert a 커서 다음에 insert A 줄 맨 뒤에서 insert o 커서 아래로 한 줄 띄우고 insert O 커서 위로 한 줄 띄우고 insert 편집 키 기능 dd 현재 줄 잘라내기 yy 현재 줄 복사하기 p 붙여넣기 u 실행취소 (Undo) ctrl + r 재실행 (Redo) v Visual 모드 y 복사 c 잘라내기 이동 키 기능 w 단어 첫 글자 기준으로 다음으로 이동 W 공백 기준으로 다음 (단어의 시작)으로 이동 b 단어 첫 글자 기준으로 이전으로 이동 B 공백 기준으로 이전으로 이동 e 단어 마지막 글자 기준으로 다음으로 이동 E 공백 기준으로 다음(단어의 끝)으로 이동 gg 문서 맨 앞으로 이동 G 문서 맨 아래로 이동 ..
-
[HTTP] HTTP 응답 상태 코드Computer Science/Network 2021. 12. 8. 23:53
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의 처리 상태를 응답에서 알려주는 기능 응답 상태 코드 응답 상태 의미 예 1xx Infomational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 중 (거의 사용하지 않음) 2xx Successful 요청 정상 처리 200 Ok 201 Created 요청이 성공해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됨 생성된 리소스는 응답의 Location 헤더로 식별 202 Accepted 요청이 접수되었으나 처리가 완료되지 않았음 배치 처리 같은곳에서 사용 (요청 접수 후 1시간 뒤에 배치 프로세스가 요청을 처리함) 204 No Content 서버가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지만, 응답 페이로드 본문에 보낼 데이터가 없는 경우 예> 웹 문서 편집기에서 save 버튼 save 버튼의 결과로 아무 내용이 없어도 된다. 3xx Re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