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Language
-
[Spring] 스프링 트랜잭션Programming Language/Spring 2022. 9. 30. 21:07
트랜잭션이란 트랜잭션은 완전히 성공 하거나 완전히 실패하는 일련의 논리적 작업 단위 입니다.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 스프링 트랜잭션은 프로그래밍 방식과 선언적 방식의 두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방식 TransactionTemplate 직접 PlatformTransactionManager 구현하기 트랜잭션 관리가 비즈니스 로직과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방식으로는 널리 사용되지 않음 하지만 기능이 몇가지 밖에 없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트랜잭션 프록시를 통한 부하가 중한 작업으로 느껴질 수 있어서 프로그래밍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 선언적 방식 (@Transactional) 메서드 혹은 구현체 클래스 상단에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을 사용합니다. 클래스 수..
-
[Spring] @Bean vs @ComponentProgramming Language/Spring 2022. 9. 28. 19:58
@Bean과 @Component 차이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빈과 컴포넌트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스프링은 개발의 제어권이 스프링 컨테이너(IoC 컨테이너)에 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IoC (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이라고 합니다. 스프링이 개발자 대신 객체를 제어하기 위해 객체들이 빈(Bean)으로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과거에는 객체를 빈으로 등록하기 위해 XML로 지정했어야 하는데 요즘은 애노테이션으로 간단하게 등록할 수 있습니다. @Bean @Bean은 메서드 레벨에서 선언하며, 반환되는 객체(인스턴스)를 개발자가 수동으로 빈으로 등록하는 애노테이션 입니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
-
[JAVA]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차이Programming Language/Java & Kotlin 2022. 9. 22. 19:45
개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개념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추상 클래스 (abstract class) 추상 클래스(abstract class)란 하나 이상의 추상 메서드 (abstract method)를 포함하는 클래스 입니다. 추상 메서드는 선언만 있고 본체는 없는 함수이며 선언부에 'abstract'라는 키워드를 붙입니다. 추상 메서드가 포함되어 있다면 클래스도 추상 클래스이므로 클래스명 앞에도 'abstract' 키워드를 붙여야 합니다. abstract class Animal { public String sName; public void move() { } abs..
-
[JAVA & Kotlin] Java 메모리 구조 (JVM Memory Structure)Programming Language/Java & Kotlin 2022. 9. 14. 19:41
JVM JVM(Java Virtual Machine)은 자바 가상 머신으로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소프트웨어 입니다.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은 JVM을 실행시키고 그 위에서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는 의미입니다. 즉 JVM은 운영체제(OS)와 자바 프로그램 사이를 연결해주는 중계자 역할을 합니다. 자바 코드를 컴파일하여 .class 바이트 코드(.class 파일은 바이트 코드라고 하는데 사람이 쓰는 자바 코드에서 컴퓨터 읽는 기계어의 중간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로 만들면 이 코드가 자바 가상 머신 환경에서 실행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자바 프로그램에서 오류가 발생해도 JVM만 다운될 뿐 전체 시스템에 데미지를 주지 않습니다. 또한 JVM 덕분에 플랫폼에..
-
[JPA] 테스트 코드 실행 후 데이터 rollback 설정하기Programming Language/JPA 2022. 8. 15. 02:21
상황 CRUD (데이터 저장/조회/수정/삭제) 로직을 구현한 후 JUnit을 이용하여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경우 @Entity @Getter @Setter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 @Repository public class MemberRepository { @PersistenceContext private EntityManager em; public Long save(Member member) { em.persist(member); return member.getId(); } public Member find(Long id) { return em.find(Member.cla..
-
[Spring] 스프링 빈(Bean)Programming Language/Spring 2022. 5. 31. 13:40
빈(Bean) Spring IoC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자바 객체 new 연산자로 어떤 객체를 생성했을 때 그 객체는 빈이 아님 ApplicationContext.getBean()으로 얻어질 수 있는 객체는 빈 즉 Spring에서 빈은 ApplicationContext가 알고 있는 객체, 즉 ApplicationContext가 만들어서 그 안에 담고 있는 객체를 의미 어떻게 Spring IoC 컨테이너에 빈을 등록할까? 빈을 만드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기본적으로 2가지 방법이 있음 Component Scanning 빈 설정 파일에 직접 빈을 등록 Component Scan @ComponentScan 애노테이션과 @Component 애노테이션을 사용해서 빈을 등록핟록 하는 방법 @ComponentScan 애노..
-
[JPA] 영속성 컨텍스트란Programming Language/JPA 2021. 10. 22. 16:32
JPA에서 가장 중요한 2가지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매핑하기 (Object Relational Mapping) 영속성 컨텍스트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와 엔티티 매니저 영속성 컨텍스트 JPA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용어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이라는 뜻 EntityManager.persist(entity); // 엔티티를 DB가 아니라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 엔티티 매니저? 영속성 컨텍스트? 영속성 컨텍스트는 논리적인 개념 눈에 보이지 않는다. 엔티티 매니저를 통해서 영속성 컨텍스트에 접근 엔티티의 생명주기 비영속 (new/transient) 영속성 컨텍스트와 전혀 관계가 없는 새로운 상태 영속 (managed) 영속성 컨텍스트에 관리되는 상태 준영속 (detached)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
-
[Spring] 스프링 주요 어노테이션 정리Programming Language/Spring 2021. 9. 13. 01:41
@RestController 컨트롤러를 JSON을 반환하는 컨트롤러로 만들어줍니다.' @GetMapping HTTP Method인 Get의 요청을 받을 수 있는 API를 만들어 줍니다. 예전에는 @RequestMapping(method = RequestMethod.GET)으로 사용되었습니다. @RunWith(SpringRunner.class) 테스트를 진행할 때 JUnit에 내장된 실행자 외에 다른 실행자를 실행시킵니다. 여기서는 SpringRunner라는 스프링 실행자를 사용합니다. 즉 스프링부트 테스트와 JUnit 사이에 연결자 역할을 합니다. @WebMvcTest 여러 스프링 테스트 어노테이션 중, Web(Spring MVC)에 집중할 수 있는 어노테이션 입니다. @Autowired 스프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