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Book]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3장. 타입과 추상화Books/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2023. 3. 29. 16:49
타입과 추상화 추상화의 예시 ex) 해리 벡의 지하철 노선도 지하철 노선도는 불필요한 지형 정보를 제거함으로써 단순함을 달성한 추성화의 훌륭한 예 지하철 노선도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훌륭한 추상화는 목적에 부합하는 것이어야 한다. 추상화 어떤 양상, 세부 사항, 구조를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특정 절차나 물체를 의도적으로 생략하거나 감춤으로써 복잡도를 극복하는 방법 복잡성을 다루기 위해 추상화는 두 차원에서 이뤄진다. 첫번째 차원은 구체적인 사물들 간의 공통점은 취하고 차이점은 버리는 일반화를 통해 단순하게 만드는 것 두번째 차원은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불필요한 세부 사항을 제거함으로써 단순하게 만드는 것 모든 경우에 추상화의 목적은 복잡성을 이해하기 쉬운 수준으로 단순화하는 것이라는..
-
[Book]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2장. 이상한 나라의 객체Books/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2023. 3. 29. 13:32
객체지향과 인지 능력 인간은 본능적으로 세상을 독립적이고 식별 가능한 객체의 집합으로 바라본다. 많은 사람들이 객체지향을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패러다임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객체지향이 세상을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객체들로 분해할 수 있는 인간의 기본적인 인지 능력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간의 인지 능력은 물리적인 한계를 넘어 개념적으로 경계지을 수 있는 추상적인 사물까지도 객체로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주문과 계좌 이체는 비록 물리적인 실체는 존재하지 않더라도 인간이 쉽게 구분하고 하나의 단위로 인지할 수 있는 개념적인 객체의 일종이다. 즉 객체란 인간이 분명하게 인지하고 구별할 수 있는 물리적인 또는 개념적인 경계를 지닌 어떤 것이다. "객체지향 패러다임은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
[Spring In Action] 11. 리액티브 API 개발하기Programming Language/Spring 2023. 3. 24. 13:29
Chapter 11. REST API를 리액티브하게 사용하기 스프링 5가 RestTemplate의 리액티브 대안으로 WebClinet를 제공 WebClient는 외부 API로 요청을 할 때 리액티브 타입의 전송과 수신 모두를 한다. 리소스 얻기(GET) RestTemplate의 경우는 getForObject() Mono ingredient = WebClient.create() .get() .uri("http://localhost:8080/ingredients/{id}", ingredientId) .retrieve() .bodyToMono(Ingredient.class); ingredient.subscribe(i -> { ... }) 컬렉션에 저장된 값들을 반환하는 요청 Flux ingredients = ..
-
[알고리즘] DFS, BFS 개념Algorithm/알고리즘 2023. 2. 24. 13:44
BFS와 DFS 두가지 모두 그래프를 탐색하는 방법 그래프: 정점(node)과 그 정점을 연결하는 간선(edge)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의 일종 그래프 탐색: 하나의 정점으로부터 시작하여 차례대로 모든 정점들을 한번씩 방문하는 것 DFS 깊이 우선 탐색 (Depth-First Search) 루트 노드(혹은 다른 임의의 노드)에서 시작해서 다음 분기로 넘어가기전에 해당 분기를 완벽하게 탐색하는 방식 예를 들어 미로찾기를 할 때 최대한 한 방향으로 갈 수 있을 때까지 쭉 가다가 더이상 갈 수 없게되면 다시 가장 가까운 갈림길로 돌아와서 그 갈림길로부터 다시 다른 방향으로 탐색을 진행하는 방식 BFS 너비 우선 탐색 (Breadth-First Search) 루트 노드(혹은 다른 임의의 노드)에서 시작해서 인접한..
-
@Transaction(readOnly = true)Programming Language/Spring 2022. 11. 21. 21:45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Transaction(readOnly = true)로 트랜잭션을 읽기 전용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Transaction(readOnly = true)트랜잭션에 readOnly = true 옵션을 주면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하이버네이트 세션 플러시 모드를 MANUAL로 설정한다. 이렇게 하면 강제로 플러시를 호출하지 않는 한 플러시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트랜잭션을 커밋하더라도 영속성 컨텍스트가 플러시 되지 않아 엔티티의 등록, 수정, 삭제가 동작하지 않고 또한 읽기 전용으로 영속성 컨텍스트는 변경 감지를 위한 스냅샷을 보관하지 않으므로 성능이 향상된다. 즉 엔티티를 읽기 전용으로 조회하면 변경 감지를 위한 스냅샷을 유지하지 않아도 되고 영속성 컨텍스트를 플러시 하지 않아도 돼..
-
[데이터베이스] RDBMS vs NoSQLDatabase/데이터베이스 2022. 10. 9. 19:59
이번 포스팅에서는 RDBMS 와 NoSQL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차이점을 알아보기에 앞서 기본적인 개념부터 정리해보겠습니다. Database와 DBMS 그리고 SQL - Database: 여러 사람에 의해 공유되어 사용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집합 -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의 약자로서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사용자의 요청을 해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 -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자로서 관계형 데이테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특수 목적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자료의 검색과 관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
-
[Spring] 스프링 트랜잭션Programming Language/Spring 2022. 9. 30. 21:07
트랜잭션이란 트랜잭션은 완전히 성공 하거나 완전히 실패하는 일련의 논리적 작업 단위 입니다.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 스프링 트랜잭션은 프로그래밍 방식과 선언적 방식의 두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방식 TransactionTemplate 직접 PlatformTransactionManager 구현하기 트랜잭션 관리가 비즈니스 로직과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방식으로는 널리 사용되지 않음 하지만 기능이 몇가지 밖에 없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트랜잭션 프록시를 통한 부하가 중한 작업으로 느껴질 수 있어서 프로그래밍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 선언적 방식 (@Transactional) 메서드 혹은 구현체 클래스 상단에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을 사용합니다. 클래스 수..
-
[Spring] @Bean vs @ComponentProgramming Language/Spring 2022. 9. 28. 19:58
@Bean과 @Component 차이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빈과 컴포넌트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스프링은 개발의 제어권이 스프링 컨테이너(IoC 컨테이너)에 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IoC (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이라고 합니다. 스프링이 개발자 대신 객체를 제어하기 위해 객체들이 빈(Bean)으로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과거에는 객체를 빈으로 등록하기 위해 XML로 지정했어야 하는데 요즘은 애노테이션으로 간단하게 등록할 수 있습니다. @Bean @Bean은 메서드 레벨에서 선언하며, 반환되는 객체(인스턴스)를 개발자가 수동으로 빈으로 등록하는 애노테이션 입니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